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||||||
2 | 3 | 4 | 5 | 6 | 7 | 8 |
9 | 10 | 11 | 12 | 13 | 14 | 15 |
16 | 17 | 18 | 19 | 20 | 21 | 22 |
23 | 24 | 25 | 26 | 27 | 28 |
- 코로나
- 한 줄로 서기
- 몽골
- 헬스
- Python
- 소프트웨어 아카데미
- 칭기즈칸
- 게르
- 몽골요리
- 여행
- 초원
- 테를지
- 몽골 고기
- algorithm
- ICT봉사단
- 알고리즘
- 파이썬
- 월드프렌즈 ICT 봉사단
- 칭기스칸 동상
- 아부다비
- 독일
- 울란바토르
- SWEA
- LG글로벌챌린저
- 담슈타트
- 몽골 헬스장
- 테를지국립공원
- 월드프렌즈
- 백준
- 교환학생
- Today
- Total
목록IT/자료구조 (2)
맛있는물회
자료구조 Stack을 공부하던중 Stack을 활용한 계산기 프로그램을 배우고 있었다. 그 코드안에 memset 이라는 처음 보는 함수가 있어서 한번 정리하고 넘어가 보려고 한다. visual studio에서 memset함수의 정의로 들어가면 나오는 내용이다. 보고 한번에 이해하면 다행이지만 나는 못했기때문에... 더 찾아봐서 이해하게 되었다. ㅇ memset함수는 어떤 메모리의 시작점부터 연속된 범위를 어떤 값으로(바이트 단위) 모두 지정하고 싶을 때 사용하는 함수이다. - Dst은 메모리의 시작 주소를 의미한다. - val는 메모리에 채우고자 하는 값을 의미한다. - Size은 채우고자 하는 메모리의 크기를 의미한다. Dst로 전달된 주소의 메모리서부터 Size 바이트를 Val의 값으로 채운다! mem..
1. 시간복잡도(Time Complexity)와 공간복잡도(Space Complexity) ㅇ속도에 해당하는 알고리즘의 수행시간 분석결과를 가리켜 -->'시간복잡도' 라고 한다. -> 연산의 횟수를 세어서 T(n)을 구성한다. 보통 n의 증가 및 감소에 따른 T(n)의 변화 정도를 나타낸다. O(I) - 상수형 빅오. 연산횟수가 고정인 유형의 알고리즘. O(3)라도 O(I)라고 표현한다. O(logn) - 데이터 수의 증가율에 비해 연산횟수의 증가율이 훨씬 낮은 바람직한 유형의 알고리즘. O(n) - 데이터 수와 연산횟수가 비례 O(nlogn) - 선형로그형 빅오. 데이터가 두 배로 늘때 연산횟수는 두배를 조금 넘게 증가. 알고리즘 중 이에 해당하는 알고리즘이 적지 않다. O(n^2) - 이중으로 중첩된.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