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||||||
2 | 3 | 4 | 5 | 6 | 7 | 8 |
9 | 10 | 11 | 12 | 13 | 14 | 15 |
16 | 17 | 18 | 19 | 20 | 21 | 22 |
23 | 24 | 25 | 26 | 27 | 28 |
- 코로나
- SWEA
- 소프트웨어 아카데미
- 월드프렌즈 ICT 봉사단
- 테를지국립공원
- 담슈타트
- 몽골 고기
- 여행
- ICT봉사단
- 월드프렌즈
- 헬스
- 아부다비
- 몽골요리
- 교환학생
- 게르
- 울란바토르
- 독일
- 초원
- 칭기즈칸
- algorithm
- 파이썬
- 몽골
- 칭기스칸 동상
- 알고리즘
- 백준
- 몽골 헬스장
- 한 줄로 서기
- LG글로벌챌린저
- 테를지
- Python
- Today
- Total
맛있는물회
[맛있는물회] <백준알고리즘> 1406번 "에디터" 파이썬 본문
문제 조건
한 줄로 된 간단한 에디터를 구현하려고 한다. 이 편집기는 영어 소문자만을 기록할 수 있는 편집기로, 최대 600,000글자까지 입력할 수 있다.
이 편집기에는 '커서'라는 것이 있는데, 커서는 문장의 맨 앞(첫 번째 문자의 왼쪽), 문장의 맨 뒤(마지막 문자의 오른쪽), 또는 문장 중간 임의의 곳(모든 연속된 두 문자 사이)에 위치할 수 있다. 즉 길이가 L인 문자열이 현재 편집기에 입력되어 있으면, 커서가 위치할 수 있는 곳은 L+1가지 경우가 있다.
이 편집기가 지원하는 명령어는 다음과 같다.
LDBP $
커서를 왼쪽으로 한 칸 옮김 (커서가 문장의 맨 앞이면 무시됨) |
커서를 오른쪽으로 한 칸 옮김 (커서가 문장의 맨 뒤이면 무시됨) |
커서 왼쪽에 있는 문자를 삭제함 (커서가 문장의 맨 앞이면 무시됨) 삭제로 인해 커서는 한 칸 왼쪽으로 이동한 것처럼 나타나지만, 실제로 커서의 오른쪽에 있던 문자는 그대로임 |
$라는 문자를 커서 왼쪽에 추가함 |
초기에 편집기에 입력되어 있는 문자열이 주어지고, 그 이후 입력한 명령어가 차례로 주어졌을 때, 모든 명령어를 수행하고 난 후 편집기에 입력되어 있는 문자열을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. 단, 명령어가 수행되기 전에 커서는 문장의 맨 뒤에 위치하고 있다고 한다.
Input
첫째 줄에는 초기에 편집기에 입력되어 있는 문자열이 주어진다. 이 문자열은 길이가 N이고, 영어 소문자로만 이루어져 있으며, 길이는 100,000을 넘지 않는다. 둘째 줄에는 입력할 명령어의 개수를 나타내는 정수 M(1 ≤ M ≤ 500,000)이 주어진다. 셋째 줄부터 M개의 줄에 걸쳐 입력할 명령어가 순서대로 주어진다. 명령어는 위의 네 가지 중 하나의 형태로만 주어진다.
Output
첫째 줄에 모든 명령어를 수행하고 난 후 편집기에 입력되어 있는 문자열을 출력한다.
생각한 아이디어
절대 쉽지 않은 문제인듯??
아닝가,,, 자료구조 사용하는 문제이긴한데 덱이 사실 흔하게 쓰는? 자료구조는 아닌 듯 해서,,,, ㅠ
1. 처음 생각한 아이디어
- 문자열로 컨트롤 한다 실패!!
시간조건 확인 제대로 안하고 문자열 관리 쉽네 하고 그냥 덤볐다가 시간초과 엄청나서 실패..
간단하다. 걍 문자열로 컨트롤했다.
1번 소스코드
#1406 에디터
import sys
arr= sys.stdin.readline().replace('\n','')
m=int(sys.stdin.readline())
idx = len(arr)
for _ in range(m):
val = input()
if val == 'L':
if idx !=0:
idx -= 1
elif val == 'D':
if idx != len(arr):
idx += 1
elif val == 'B':
if idx !=0:
tmp = arr[:idx-1] + arr[idx:]
arr = tmp
idx -= 1
else: #P $
p = val[2]
tmp = arr[:idx] + p + arr[idx:]
arr = tmp
idx += 1
print(arr)
2. 두번째는 다른분의 자료구조를 참고했따.
- 투 스택을 사용한다!!
투 스택을 이용하여서 커서의 위치를 index로 표현하는 것이 아니라 스택의 top으로 표현함. 이렇게 하면 단순히 pop을 하거나 오른쪽 스택으로 append를 함으로써 커서의 위치를 표현할 수 있다.
*하다가 실패한 부분은 오른쪽 스택을 그냥 단순하게 늘여놓고 눈에 보기 쉽게 왼쪽 으로 append를 하려해서 insert를 사용했는데 여기서 또 시간초과가 발생했다.
그래서 마지막에 stack2를 [::-1]로 뒤집는 다는 가정하에 단순 append와 pop을 사용해야 한다.
한번 더 풀어볼만한 문제이다..
1번 소스코드
#1406 에디터
import sys
stack_1= list(map(str,sys.stdin.readline().rstrip()))
m=int(sys.stdin.readline())
stack_2=[]
for _ in range(m):
val = input()
if val == 'L':
if stack_1:
stack_2.append(stack_1.pop())
elif val == 'D':
if stack_2:
stack_1.append(stack_2.pop())
elif val == 'B':
if stack_1:
stack_1.pop()
else: #P $
stack_1.append(val[2])
stack_1.extend(stack_2[::-1])
print(''.join(stack_1))
*파이썬 문법 정리
'IT > 알고리즘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맛있는물회] <백준 알고리즘> 1699번 " 제곱수의 합" (1) | 2020.05.29 |
---|---|
[맛있는물회] <백준 알고리즘> 1654번 "랜선 자르기" (0) | 2020.05.28 |
[맛있는물회] <알고리즘> 파이썬 math 모듈 (0) | 2020.05.19 |
[맛있는물회] <백준 알고리즘> 1373번 "2진수 8진수" (0) | 2020.05.09 |
[맛있는물회] <2018 카카오> "파일명 정렬" (0) | 2020.05.08 |